본문 바로가기
영어 이야기

겨울철 필수템, 후리스(X), 플리스(O) - 의복 관련 바른 영어

by Ms.수리 2022. 12. 25.

겨울철 필수 아이템 ‘후리스’라는 단어 혹시 들어보셨나요? 몇해 전부터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너도나도 교복처럼 꺼내 입기 시작하는 후리스 일명 뽀그리라고도 불리는데 보온성이 좋아서 여러분 옷장에 하나씩은 들어 있을 법한 인기 아이템이죠?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후리스라고 부르지만 사실 정확한 영어 표현은 Fleece '플리스'입니다. 잘못 쓰이고 있는 외래어 표기법의 한 예시인데요. 국립국어원에서도 후리스라는 해당 용어 대신 영어 발음 그대로 플리스라 한글로 적으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일상생활 속에선 매우 자주 쓰이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심지어 포털사이트 검색 결과만 비교해 보더라도 바른 표현인 Fleece라는 표현보다 후리스라는 용어로 검색했을 때 훨씬 더 많은 결과물이 수많은 유명 브랜드명 뒤에 붙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여러분들이 의미를 혼동해서 사용하거나 틀리게 정착된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의복과 관련 영어 표현을 함께 정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대신 영어 사용을 권장하고자 작성하는 글이 아니라 한글의 적당한 표현이 없어 영어를 기왕 사용해야 한다면 바른 표현을 사용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늘 글 시작합니다.



1. Sweater, Jumper, Pullover :

 

표현은 세 가지이지만 실제 영어권 나라에서는 별 구분 없이 같은 뜻으로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아마 jumper를 한국어의 상의의 한 종류를 칭하는 잠바와 혼동해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 이 세 단어는 모두 모직이나 울, 털 재질로 짜이고 단추나 지퍼가 없는 통으로 이루어진 상의를 의미합니다. 원래 Pullover는 이러한 종류의 의복들을 착용할 때 옷을 머리 위로 넣어 당겨 입는다는 표현에서 시작되었지만 Sweater, Jumper와 별다른 구분 없이 함께 사용합니다.

2. Briefs, Trunk, Boxer briefs, Boxers :


 네 단어 모두 남성분들의 언더웨어 종류의 이름이며 의미하는 바는 언더웨어의 모양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일명 삼각팬티라 불리는 짧은 삼각형의 속옷을 Briefs, 통이 넓지 않아 몸에 밀착되는 짧은 사각팬티가 Trunk, 밀착되는 것은 같지만 트렁크보다 조금 긴 사각팬티가 Boxer briefs 그리고 통 넓은 사각팬티를 Boxers라 부릅니다. 요즘 가장 많이 선호하는 형태의 속옷 중 "drawers", 드로우즈라 부르는 것을 많이 듣게 되는데 맞는 표현은 길이의 차이에 따라 Trunk 혹은 Boxer briefs이며 드로우즈라는 표현은 단일의 남성 속옷을 칭하는 적절한 표현은 아닙니다. 이 단어는 16세기부터 스타킹, 팬티, 바지 등의 하의를 통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는데 스타킹이나 팬츠 등의 하의를 당겨 입다, 그 당김의 의미 drawing이란 단어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3. Blazer vs Suit jacket :


 블레이저와 정장 재킷은 유사한 상의의 종류로 겉옷을 의미하지만, 블레이저는 좀 더 격식 없고 다양한 디자인이며 상·하의 한 벌로 이루어진 Suit jacket과 달리 상의만으로 이루어진 재킷을 의미합니다. 마이(?) 이 단어가 요즘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지 잘 모르겠지만 예전에 마이라 불리던 상의 재킷이 대부분 블레이저에 속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블레이저는 원래 항공사 직원, 교복, 스포츠 클럽 회원 등의 팀 혹은 단체의 유니폼에서 기원하였으며 대개 단색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현재는 다양한 디자인이 들어간 격식 없는 재킷을 의미합니다.

4. 후드티 vs Hoodie : 


두 표현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후드티란 단어는 모자를 의미하는 hood란 단어와 T-shirt를 의미 하는 단어가 조합되고 단축되어 만들어진 표현으로 추측되는데요. 이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며 여러분이 흔히 알고 있는 모자가 달린 sweat shirt를 칭하는 표현은 Hoodie가 맞습니다.

5. Shirt 종류 :


 남성분들이 흔히 타이를 멜 때 입는 셔츠는 Classic shirt 혹은 Dress shirt라 부르는데 그냥 간단하게 Shirt라 부르면 됩니다. 또 남방이라 부르는 옷의 종류도 있지요? 보통 단색의 면 재질의 남방은 Oxford shirt, 체크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있고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남방을 부르는 바른 표현은 Fabric shirt입니다.

6. Slacks pants : 


몇 해 전부터 잘못된 표현인 기지바지라는 표현 대신 "슬랙스"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요? 사실 이 표현은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닙니다. Slack이란 원래 밧줄의 느슨한 끝이나 돛과 같이 꽉 조이지 않은 것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 오래된 색슨 용어 ('슬랙')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대체로 너무 꽉 끼지 않는 바지의 형태를 Slacks Pants라 합니다. 또 정장 바지는 dress pants, 흔히 면바지라 부르는 것은 Chinos라 하면 됩니다. 

 

7. Singlet :


 마지막 단어는 Singlet, 좀 낯선 단어이지요? 하지만 설명을 들으시면 아하~ 하실 거예요. Singlet은 보통 운동 선수들이 많이 입는 소매가 없는 Sports shirt입니다. 제일 쉽게 설명해 드리면 농구 선수들이 입는 상의 형태를 떠올리시면 돼요. 남자분들 운동하실 때 많이 착용하시죠? 나시라는 표현은 원래 소데나시라는 일본어를 줄여 잘못 사용하는 표현이므로 민소매라는 국어를 사용하거나 Singlet이라는 바른 표현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여기까지 정리해 드린 내용이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에는 영어가 일본어를 거쳐 들어와 정착되어 잘못 사용되고 있는 표현을 한번 정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